노무현
대통령 재임 시절의 노무현 (2004년) | |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 | |
---|---|
임기 |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
국무총리 | 고건 (2003년 ~ 2004년) 이해찬 (2004년 ~ 2006년) 한명숙 (2006년 ~ 2007년) 한덕수 (2007년 ~ 2008년) |
전임: 김대중(15대) 후임: 이명박(17대)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46년 9월 1일 |
출생지 |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
사망일 | 2009년 5월 23일 (62세) |
사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정당 | 통일민주당 (1988년 ~ 1990년) 민주당 (1990년 ~ 1995년) 통합민주당 (1995년 ~ 1996년) 민주당 (1996년 ~ 1997년) 새천년민주당 (1997년 ~ 2003년) 열린우리당 (2004년 ~ 2007년) |
학력 |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
종교 | 무교(로마 가톨릭교회 세례명: 유스토) |
배우자 | 권양숙 |
자녀 | 아들 노건호, 딸 노정연 |
부모 | 부: 노판석, 모: 이순례 |
서명 |
노무현(盧武鉉, 1946년 9월 1일 ~ 2009년 5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주화 운동가, 인권 변호사, 노동운동가 그리고제16대 대통령이다.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독학으로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판사로 1년 정도 재직하다 그만두고 조세 분야의 변호사로 활동 하던 중 ‘인권 변호사’가 되어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통일민주당 총재 김영삼과의 인연으로 정계에 입문해 부산광역시와 서울특별시에서 국회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90년 김영삼의 3당 합당에 반대하면서 김영삼과 결별, 이후국민통합추진회의를 결성하여 활동하다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으며, 국민의 정부의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국민경선제에서 ‘노풍(盧風)’을 일으키며 여당 후보로서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16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듬해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였고, 그 다음해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한 개혁세력들이 주축이 되어 창당한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다.
2004년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이 정한 중립의무 및 대한민국 헌법 위반을 이유로 야당에게 국회로부터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직 재임 중 탄핵 소추를 당해 대통령직 권한이 정지되었다. 이후 16대 국회에서 탄핵을 주도했던 주류 정당들은 여론의 역풍에 휩싸여 제17대 총선에서 패배하였고, 얼마 후 헌법재판소에서 소추안을 기각하면서 대통령 직무에 복귀하였다.
정계 입문 초기에 직설적인 화법으로 청문회 스타 자리에 오르기도 하였으나 임기 중에는 "대통령 못해먹겠다”, “미국 응딩이 뒤에 숨어서” 등 그의 화법이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합법화와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검토하였고, 행정수도 이전을 계획하였으나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라 행정도시인 세종특별자치시 건설로 선회하였다. 이 외에 한미 FTA추진과 이라크 파병 등에 대해서 평가가 엇갈린다.
퇴임 이후에는 귀향하였고, 이후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본산리의 봉하 마을은 관광 명소가 되었다. 그러나 2009년 검찰의박연차 정관계 로비 사건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면서 노무현의 측근 세력들이 수사 대상에 오르게 되고 박연차와 친분이 있던 노무현의 가족도 금전을 수수했다는 의혹으로 인하여 ‘포괄적 뇌물죄 혐의’[1][2]를 받고 수사를 받게 되었고, 노무현도 검찰 소환 조사를 받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검찰에서는 지속적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과 그 가족의 혐의로 의심될만한 점을 언론에 흘렸다. 2009년 5월 23일 자택 뒷산인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투신 자살하였다.[3] 사망 후 일주일간 봉하 마을에는 전국에서 400만 명의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4] 그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